[현장연결] 문 대통령, 5·18민주화운동 40년 기념사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의 5·18 민주화운동 40년 기념사, 직접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[문재인 / 대통령]<br /><br />존경하는 국민 여러분, 광주·전남 시·도민 여러분, 오월 광주로부터 40년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시민과 함께 하는 5·18, 생활 속에서 되살아나는 5·18을 바라며, 정부는 처음으로 5·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망월동 묘역이 아닌, 이곳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거행합니다.<br /><br />5·18 항쟁 기간 동안 광장은 서로의 안부를 확인하는 사랑방이었고, 용기를 나누는 항쟁의 지도부였습니다.<br /><br />우리는 광장에서 결코 잊을 수 없는 대동세상을 보았습니다. 직접 시위에 참가하지 않은 시민들과 어린 학생들도 주먹밥을 나누고, 부상자들을 돌보며, 피가 부족하면 기꺼이 헌혈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우리는 독재 권력과 다른 우리의 이웃들을 만났고, 목숨마저 바칠 수 있는 민주주의의 참모습을 보았습니다.<br /><br />도청 앞 광장에 흩뿌려진 우리의 민주주의는 지난 40년, 전국의 광장으로 퍼져나가 서로의 손을 맞잡게 했습니다. 드디어 5월 광주는 전국으로 확장되었고, 열사들이 꿈꾸었던 내일이 우리의 오늘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함께 잘 살 수 있는 세상은 아직도 갈 길이 멉니다.<br /><br />오늘 우리에게는 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더 많은 광장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우리는 오늘 5·18 광장에서 여전히 식지 않은 오월 영령들의 뜨거운 가슴과 만납니다.<br /><br />언제나 나눔과 연대, 공동체 정신으로 되살아나는 오월 영령들을 기리며, 그들의 정신을 민주주의의 약속으로 지켜온 유공자, 유가족들께 깊은 위로와 존경의 마음을 바칩니다.<br /><br />'오월 정신'을 키우고 나눠오신 광주시민과 전남도민들, 광주를 기억하고, 민주주의를 지켜주신 국민들께도 각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, '오월 정신'은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희망이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며 만들어진 것입니다.<br /><br />가족을 사랑하고, 이웃을 걱정하는 마음이 모여 정의로운 정신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광주시민들의 서로를 격려하는 마음과 나눔이, 계엄군의 압도적 무력에 맞설 수 있었던 힘이었습니다.<br /><br />광주는 철저히 고립되었지만, 단 한 건의 약탈이나 절도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주인 없는 가게에 돈을 놓고 물건을 가져갔습니다.<br /><br />그 정신은 지금도 우리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에 깃들어 있습니다.<br /><br />'코로나' 극복에서 세계의 모범이 되는 저력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병상이 부족해 애태우던 대구를 위해 광주가 가장 먼저 병상을 마련했고, 대구 확진자들은 건강을 되찾아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'오월 어머니'들은 대구 의료진의 헌신에 정성으로 마련한 주먹밥 도시락으로 어려움을 나눴습니다.<br /><br />'오월 정신'은 역사의 부름에 응답하며 지금도 살아있는 숭고한 희생정신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1980년 5월 27일 새벽, 계엄군의 총칼에 이곳 전남도청에서 쓰러져간 시민들은 남은 이들이 더 나은 세상을 열어갈 것이라 믿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패배가 내일의 승리가 될 것이라 확신했습니다.<br /><br />산 자들은 죽은 자들의 부름에 응답하며, 민주주의를 실천했습니다.<br /><br />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것이 민주화 운동이 되었고, 5·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위대한 역사가 되었습니다.<br /><br />"나라면 그날 도청에 남을 수 있었을까?" 그 대답이 무엇이든 스스로에게 물어보는 시간을 가졌다면, 우리는 그날의 희생자들에게 응답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사람이 사람끼리 서로 공감하며 아픔을 나누고 희망을 만들어내듯, 우리는 진실한 역사와 공감하며, 더 강한 용기를 얻고, 더 큰 희망을 만들어냈습니다.<br /><br />그것이 오늘의 우리 국민입니다.<br /><br />'오월 정신'은 더 널리 공감되어야 하고 세대와 세대를 이어 거듭 새롭게 태어나야 합니다.<br /><br />한 청년이 말했습니다.<br /><br />"5·18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자격이 따로 있다면, 그것은 아직 5·18정신이 만개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." 5·18을 겪지 않은 세대가 태어나고 자라 한 가정의 부모가 되고, 우리 사회의 주축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그날 광주에 있지 않았던 사람들도 나름의 방식으로 함께 광주를 겪었습니다.<br /><br />그렇습니다. '오월 정신'은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것입니다.<br /><br />'오월 정신'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과 미래를 열어가는 청년들에게 용기의 원천으로 끊임없이 재발견될 때 비로소 살아있는 정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'오월 정신'이 우리 마음에 살아 있을 때 5·18의 진실도 끊임없이 발굴될 것입니다.<br /><br />'오월 정신'을 나누는 행사들이 5·18민주화운동 40년을 맞아 전국에서 펼쳐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려운 시기, 의미 있는 행사를 진행하고 계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.<br /><br />저와 정부도 '오월 정신'이 우리 모두의 자부심이 되고, 미래세대의 마음과 삶을 더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언제나 함께할 것입니다.<br /><br />서로 돕고 나눌 수 있을 때, 위기는 기회가 됩니다.<br /><br />위기는 언제나 약한 사람들에게 더욱 가혹합니다.<br /><br />우리의 연대가 우리 사회 가장 약한 사람들에게까지 미치고, 그들이 일어날 수 있을 때, 위기를 극복하는 우리의 힘도 더 강해질 것입니다.<br /><br />오늘 '경과보고'와 '다짐'을 낭독해준 차경태, 김륜이 님과 같은 미래세대가 정의롭고 공정한 세상에서 자신의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연대의 힘을 더 키워 가겠습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, 광주시민들은 아픔을 넘어서는 긍지로 5·18의 명예를 소중히 지켜왔습니다.<br /><br />광주 밖에서도 수많은 이들이 광주의 고통에 눈감지 않고 광주의 진실을 세상에 알렸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5·18의 진상 규명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 12일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'5·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'가 남겨진 진실을 낱낱이 밝힐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.<br /><br />진실이 하나씩 세상에 드러날수록 마음속 응어리가 하나씩 풀리고, 우리는 그만큼 더 용서와 화해의 길로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입니다.<br /><br />왜곡과 폄훼는 더이상 설 길이 없어질 것입니다.<br /><br />발포 명령자 규명과 계엄군이 자행한 민간인 학살, 헬기 사격의 진실과 은폐·조작 의혹과 같은 국가폭력의 진상은 반드시 밝혀내야 할 것들입니다.<br /><br />처벌이 목적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역사를 올바...